라벨이 ETF 장단점인 게시물 표시

국내 ETF vs 해외 ETF – 장단점 비교 분석

이미지
“국내 ETF와 해외 ETF, 똑같은 것 같지만 전혀 다릅니다” 처음 ETF를 공부하다 보면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 “S&P500 추종 ETF가 국내에도 있고, 미국에도 있다던데 뭐가 다른 거죠?” “해외 ETF가 수익률은 좋다는데, 왜 다들 국내 ETF부터 시작할까요?” ETF는 본질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간접 투자 상품’이지만, 국내 상장인지, 해외 상장인지 에 따라 구조와 수익률, 세금까지 전부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그 차이를 하나씩 짚어볼게요. 1. 국내 ETF의 장단점 국내 ETF 는 한국 증시에 상장된 ETF입니다. 국내 기업뿐 아니라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국내에서 거래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에요. ✅ 장점 쉽고 빠른 거래 : 일반 주식처럼 HTS/MTS 앱에서 바로 사고팔 수 있어요. 세금 부담이 적다 : 매매 차익에는 세금이 없고, 배당소득에 대해서만 분리과세 15.4% 적용됩니다. 환전 필요 없음 : 원화로 거래되므로 별도의 환전 절차가 필요 없습니다. ❌ 단점 상품 다양성이 부족하다 : 미국처럼 다양한 테마형 ETF나 레버리지, 인버스 구조가 적어요. 유동성이 낮은 ETF가 많다 : 거래량이 적은 ETF는 매수/매도 호가 차이가 커서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배당률이 낮다 : 특히 해외 ETF와 비교할 때 배당수익률이 낮은 편입니다. 📌 Tip: 처음 ETF를 접하는 분이라면 국내 ETF로 연습 해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2. 해외 ETF의 장단점 해외 ETF 는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등 해외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 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VTI, SPY, QQQ, ARKK 등이 있습니다. ✅ 장점 상품이 매우 다양하다 : 기술주, 배당주, 채권, 원자재, 리츠, AI, 우주 등 선택지가 수백 개! 수수료가 낮다 : 대표적인 미국 ETF들은 총보수가 0.03~0.1%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 장기 수익률 우수 :...

펀드 vs ETF – 나에게 맞는 간접 투자 방식은?

이미지
“펀드가 나을까요, ETF가 나을까요?” 간접 투자를 고려할 때 펀드와 ETF 중 어떤 게 더 좋을지 고민 되시죠? ✔ 둘 다 전문가가 운용하고 ✔ 둘 다 분산 투자가 가능하지만 ✔ 세부 구조와 운용 방식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펀드와 ETF의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추천 대상 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구조의 차이부터 이해하자 구분 펀드 ETF 거래 방식 은행/증권사 통해 가입, 하루 뒤 기준가 반영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운용 형태 전문가(펀드매니저)가 운용 지수 추종, 패시브 운용 수수료 연 1~2% 내외 (판매보수 포함) 연 0.1~0.5% + 증권사 거래 수수료 유동성 환매까지 수일 소요 즉시 매매 가능 편리성 가입은 쉽지만 관리 어려움 앱에서 간편 매매 및 관리 가능 👉 ETF는 실시간 거래와 낮은 수수료가 강점 👉 펀드는 자동 투자와 전문 운용이 장점 2. 누가 어떤 상품을 선택하면 좋을까? 투자자 유형 추천 상품 이유 투자 초보자 펀드 전문가 운용, 자동 분산, 설정 후 손댈 필요 없음 장기 투자자 ETF (TDF 포함) 복리 + 리밸런싱 효과 기대 가능 수수료 민감한 실용주의자 ETF 낮은 보수 + 실시간 매매 유연성 공부는 최소한으로 하고 싶다 펀드 목표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