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투자 일지인 게시물 표시

투자 일지로 내 자산 흐름을 파악하자 – 실천법 공개

이미지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저는 수익률에만 집중했어요. “이번 달 몇 퍼센트 올랐지?”, “수익률이 마이너스야, 어떡하지?” 하지만 어느 순간, 자산이 늘고 있는데도 왠지 불안 했어요. 그때 알게 된 것이 바로 ‘투자 흐름’을 기록하는 습관 , 즉 투자 일지 였습니다. 투자 일지, 왜 필요한가요? 투자는 기록하지 않으면 반복되고 , 기록하면 개선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달 ETF를 샀던가?”, “왜 이 종목을 샀지?”조차 기억 못한 채 투자해요. 투자 일지는 단순한 메모장이 아니라, 내 자산의 흐름을 숫자와 이유로 보는 도구 입니다. 투자 일지가 주는 3가지 효과 투자 결정의 ‘기록과 복기’ 왜 그 종목을 샀는지, 언제 어떤 이유로 매수했는지를 남기면 나중에 그 판단이 맞았는지 객관적으로 복기할 수 있어요. 수익률보다 더 중요한 '흐름'을 본다 특정 자산군의 수익은 좋은데 전체 자산은 줄어들고 있다면? 일지를 통해 자금 흐름이 어디에서 무너졌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 감정적 투자 방지 충동 매수·매도 후 일지를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반성하게 됩니다. 그게 곧 더 나은 투자로 이어지죠. 어떻게 쓰면 될까요? (투자 일지 구성 예시) 처음부터 완벽한 포맷이 필요하진 않아요. 아래처럼 간단한 항목부터 시작해보세요. 항목 내용 날짜 2025.04.08 종목 KODEX 200 액션 매수 금액 300,000원 이유 장기 분산 투자 목적, 최근 조정 국면 비고 매수 후 5% 하락 시 추가 매수 계획 있음 이렇게만 작성해도 나중에 보았...

포트폴리오 점검, 최소 분기 1회는 해야 하는 이유

이미지
“그냥 좋은 종목에 장기 투자하면 되지 않나요?” 처음 투자를 시작했을 때,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매달 자동이체로 ETF를 사 모으고, 따로 확인하지 않았어요. 하지만 어느 날 수익률을 확인하고 충격을 받았죠. 어느새 전체 포트폴리오의 60%가 한 종목에 쏠려 있었고, 그 종목이 하락하면서 제 계좌 전체가 휘청였던 겁니다. 그제야 알게 됐어요. 포트폴리오는 ‘관리’하지 않으면 금방 기울 수 있다 는 사실을요. 왜 정기적인 투자 점검이 필요할까? 투자라는 건 한번 설계하고 끝나는 일이 아닙니다. 시장도, 경제도, 내 상황도 모두 끊임없이 변하죠. 특히 이런 변화에 따라 내 포트폴리오의 자산 비중도 점점 왜곡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이 급등하면 포트폴리오 내 주식 비중이 원래 40%에서 55%로 올라갈 수 있어요. 반대로 채권 비중이 줄면 방어력이 약해집니다. 이런 왜곡을 제때 점검하고 조정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의 핵심 이에요. 점검하지 않으면 생기는 문제 리스크 쏠림 원래 의도와 다르게 한 자산군에 비중이 몰릴 수 있어요. 특히 기술주, 성장주 등은 급등 후 급락 가능성이 크죠. 시장의 변화에 둔감해짐 금리가 오르는데 여전히 채권에 집중? 경기 회복기에 안전 자산 비중이 많다면 수익 기회를 놓칠 수 있어요. 자산 성장의 흐름을 놓침 내 투자 자산이 어디서 수익을 내고, 어디서 손실을 보는지 모르면 포트폴리오 개선이 불가능합니다. 언제, 얼마나 자주 점검해야 할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주기를 추천합니다. 기본 주기: 분기 1회 (3개월마다) 시장 환경은 분기마다 뚜렷하게 바뀌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로 펀드 매니저들도 분기 단위로 전략을 수정합니다. 특별한 상황엔 수시 점검 금리 급등/급락, 대선·정책 변화, 전쟁·재난 등 큰 이슈 발생 시 갑작스러운 급등·급락으로 포트폴리오 균형이 깨졌다면 즉시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