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재테크 실천법인 게시물 표시

통장 4개로 1년 만에 500만 원 모은 이야기

이미지
“제가 이렇게 돈을 모을 줄 몰랐어요.” 예전의 저는 “돈은 많은데 왜 잔고는 없을까?” 늘 이런 생각만 하면서 한 달 한 달을 버티듯 살았습니다. 그런데, 딱 1년 전 , 통장 4개로 관리하는 방법을 시작했고 놀랍게도 500만 원이 모였습니다. 오늘은 실제 제 경험을 바탕으로 ‘통장 쪼개기’가 어떻게 자산을 바꾸는지 이야기해볼게요. 1. 시작은 단순한 의문이었습니다 월급은 꾸준히 들어오는데 한 달이 끝나면 어김없이 0원 . 그래서 제가 가장 먼저 한 건 ✔ 소비를 줄이는 게 아니라 👉 돈이 어디로 나가고 있는지부터 분리하는 것 이었어요. 2. 이렇게 나눴습니다 – 4개의 통장 통장 이름 용도 월 자동이체 설정 급여 통장 월급 수령 + 분배 전용 0원 (허브 통장) 생활비 통장 식비, 교통비, 카드 연결 70만 원 비상금 통장 의료비, 갑작스러운 지출용 10만 원 저축/투자 통장 CMA + 적금 혼합 30만 원 총 고정지출 외 110만 원 만 가지고 생활했습니다. 처음엔 빠듯했지만, 3개월 지나니 익숙해지더군요. 3. 의식하지 않아도 돈이 남기 시작했다 정확히 6개월이 지나면서 느낀 변화는: 체크카드 연결된 통장만 들여다보게 됨 출금이 귀찮으니 비상금은 건드리지 않음 적금이 쌓이니까 '기분 좋은 중독'이 생김 ✔ 돈이 새는 구조 에서 👉 돈이 모이는 루틴 으로 전환된 순간이었습니다. 4. 1년 뒤, 놀라운 결과 매달 저축/투자 30만 원 + 비상금 10만 원 = 월 40만 원 12개월이면 단순 계산으로 480만 원 여기에 연말 상여금 일부도 넣었더니 1년 만에 510만...

첫 월급 받으면 꼭 해야 할 재테크 3가지

이미지
“첫 월급 받으면 뭘 해야 할까요?” 많은 사회초년생이 첫 월급을 받으면 그 감격과 기쁨에 '나를 위한 소비'를 계획합니다. 물론, 축하는 필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 바로 첫 월급부터 재테크 루틴을 만드는 것 입니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앞으로의 돈 관리도 자연스럽게 따라갑니다. 이번 글에서는 첫 월급으로 꼭 실천해야 할 재테크 3가지 를 소개드립니다. 1. 통장 쪼개기: 돈의 목적을 나누는 습관 만들기 많은 사람들이 '얼마 썼는지 모르게' 돈이 사라진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돈에 ‘목적’이 없기 때문 입니다. ✔ 첫 월급을 받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통장을 목적별로 나누는 것’ 입니다.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좋습니다: 월급 통장 : 모든 수입이 들어오는 통장 소비 통장 : 생활비, 고정비 이체용 저축 통장 : 비상금, 목표저축 투자 통장 : ETF, 펀드, CMA 등 예비비 통장 : 여행, 병원비 등 비정기 지출 이렇게 분리하면, ‘돈이 어디서 어디로 흐르는지’ 한눈에 보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도 줄어들고 자산 관리는 쉬워집니다. 2. 자동이체 설정: 저축과 투자를 습관화하기 돈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소비부터 하고 남는 돈으로 저축을 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대부분 저축에 실패 합니다. ✔ 월급일 기준으로 자동이체를 미리 설정해두세요. 월급일+1일: 저축 통장으로 10~20% 이체 월급일+1일: 투자 통장으로 5~10% 이체 소비 통장: 남은 금액 안에서만 지출 이렇게 하면 ‘내가 모른 사이에 돈이 모이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 3. 소비 기록: 나만의 소비 패턴 점검하기 첫 월급을 받은 후,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조차 기억이 안 난다면 당신은 돈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재테크의 기본은 ‘기록’ 입니다. 단 하루만 소비 기록을 해봐도 내가 어떤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