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고르는 3가지 기준 – 수수료, 추종지수, 분산성

“ETF도 아무거나 사면 안 됩니다” ETF는 ‘초보자를 위한 간접 투자’로 인기가 높지만, 정작 ETF가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지 모르고 그저 '인기 순'이나 '이름만 보고' 사는 분들이 많아요. 📌 ETF도 ‘고르는 기준’을 명확히 알아야 수익률과 리스크 모두 잘 관리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투자하며 기준으로 삼는 ETF 선택 기준 3가지 를 알려드릴게요. 1. 수수료 (총 보수, TER)을 먼저 확인하세요 ETF는 매매 수수료뿐 아니라 **ETF 자체에서 발생하는 ‘운용 보수(총보수, TER)’**가 있어요. ✔ TER = 총보수 = ETF 관리·운용에 들어가는 비용 ✔ 이 수치는 매년 ETF 자산에서 차감됨 예시: ETF명 TER(총보수) 특징 KODEX 200 0.15% 대표적인 저비용 국내 ETF TIGER 미국S&P500 0.07% 해외 시장 추종, 수수료 매우 낮음 액티브 ETF 0.4~0.7% 운용 적극적이나 수수료 높음 📌 수수료가 높을수록 내 수익률은 그만큼 깎입니다. →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 더 저렴한 수수료 를 선택하세요. 2. 추종지수(기초지수)가 무엇인지 파악하세요 ETF는 ‘지수’를 따라갑니다. 즉, 내가 ETF를 고른다는 건 어떤 지수를 따를지 고르는 것 이에요. 예시로 보는 ETF 지수 종류 ETF명 추종 지수 의미 KODEX 200 코스피200 한국 상위 200대 기업 주가 TIGER S&P500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