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금융 기초 용어인 게시물 표시

수익률 계산법 완전 정리 – 복리, 단리 차이까지

이미지
“수익률이 몇 % 나왔어요”라는 말, 정확히 뭘까요? ✔ 10만 원 투자해서 1만 원 벌면 수익률은? ✔ 연 5% 복리로 10년이면 얼마가 될까? 수익률(수익의 비율)은 투자의 결과를 보여주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 입니다. 하지만 단리, 복리 개념을 혼동하거나 계산법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이 개념을 제대로,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수익률이란? 수익률 = 투자 대비 수익의 비율 📌 기본 공식:   수익률 ( %) = (최종금액 – 투자금액) ÷ 투자금액 × 100   📌 예시: 100만 원 → 110만 원이 됐다면 (110 – 100) ÷ 100 × 100 = 10% 수익률 ✔ 수익률은 ‘얼마 벌었냐’보다 ‘얼마 넣고 얼마나 불었냐’를 보는 개념 입니다. 2. 단리와 복리의 차이 구분 단리 복리 계산 방식 원금에만 이자 발생 원금 + 이자에 이자 발생 (이자가 또 이자 만들어냄) 예시 매년 5만 원씩 이자 = 총 50만 원 (10년) 10년 후 약 62.9만 원 (연 5% 복리 기준) 시간 효과 시간 지나도 수익 증가폭 일정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률 기하급수적 증가 📌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이자를 낳는 구조”**가 형성돼요. 3. 복리 수익 계산 예시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투자하면? 1년 후: 100만 원 × 1.05 = 105만 원 2년 후: 105만 원 × 1.05 = 110.25만 원 10년 후: 약 162.9만 원 💡 단리로는 10년 뒤 150만 원, 복리로는 약 13만 원 더 불어납니다. 4. CAGR – 평균 연 수익률 투자 성과를 비교할 때 자주 나오는 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