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리 vs 복리, 10년 후 자산이 이렇게 차이납니다.
“단리나 복리나 어차피 이자 받는 거잖아요?”
처음엔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직접 계산해보고 나서야 그 차이를 실감했죠.
단리는 정직하지만 느리고,
복리는 시간이 갈수록 강력해지는 구조입니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실제 수치로 비교해서 설명드릴게요.
읽고 나면 여러분의 투자 전략도 달라질 거예요.
단리와 복리, 어떻게 다를까요?
개념 | 설명 |
---|---|
단리 (Simple Interest) |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구조 |
복리 (Compound Interest) | 원금 +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 |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5%로 투자하면?
-
단리: 매년 5만 원 고정 이자 → 10년 후 = 150만 원
-
복리: 이자에 이자가 붙음 → 10년 후 = 약 163만 원
차이가 크지 않은 것 같다고요?
그럼 기간을 20년, 30년으로 늘려보면
자산의 성장 곡선이 전혀 다르게 펼쳐집니다.
수치로 비교해봅시다
투자 기간 | 단리 (연 5%) | 복리 (연 5%) | 차이 |
---|---|---|---|
5년 | 125만 원 | 약 127.6만 원 | 약 2.6만 원 |
10년 | 150만 원 | 약 162.9만 원 | 약 12.9만 원 |
20년 | 200만 원 | 약 265.3만 원 | 약 65.3만 원 |
30년 | 250만 원 | 약 432.2만 원 | 약 182.2만 원 |
이 표를 보면 명확합니다.
-
단리는 시간이 길어져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
복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합니다.
복리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
가장 강력한 무기 = 시간
복리는 이율보다도 기간이 길수록 압도적인 효과를 냅니다.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 게 중요해요. -
복리 구조가 적용되는 금융상품 선택
-
적립식 펀드
-
ETF
-
연금저축 / IRP
-
배당 재투자 가능 종목
이들은 자동으로 복리 구조를 만들어주는 자산입니다.
-
-
중간에 깨지 말기
복리는 ‘중단 없이’ 유지될 때 위력이 생깁니다.
중도해지하거나 급히 자금을 빼면 복리의 힘은 사라집니다.
실전 투자자 팁
-
처음엔 수익률보다 복리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투자 시스템을 고민하세요.
-
리밸런싱을 하더라도 전체 복리 흐름을 끊지 않는 방향으로 조정하세요.
-
자동이체, 자동 투자, 배당 재투자 등을 활용하면 복리 효과를 실현하기 쉽습니다.
마무리하며
단리와 복리는
단순히 ‘계산 방식의 차이’가 아닙니다.
시간을 아군으로 삼느냐, 그냥 보내느냐의 차이예요.
많은 사람들이
“소액이니까 의미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지만,
복리는 그 작은 금액에 시간을 더해 자산을 바꾸는 도구입니다.
오늘, 10만 원을 단리가 아닌 복리로 굴려보세요.
10년 후, 그 차이가 여러분의 자산을 바꿔놓을 겁니다.
다음 글 예고
[복리의 3요소 – 수익률, 시간, 그리고 끈기]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수익률과 시간은 알겠는데, ‘끈기’는 왜 필요할까요?
다음 글에서는 복리의 핵심 요소와 실제 적용 전략을 소개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