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경험과 성향으로 나만의 기준 세우기

“그 사람은 가치투자를 하고,
저 사람은 성장주에 투자하더라.”

수많은 투자 전략 속에서
‘나에게 맞는 방식은 무엇일까?’
고민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 글은 그런 분들을 위한
투자 철학 정립 실전편입니다.
나의 성향과 경험을 기준으로
진짜 나만의 투자 원칙을 만드는 방법을 함께 알아볼게요.


1단계: 나의 투자 성향 파악하기

✅ 아래 질문에 답해보세요.

질문 예시 A 예시 B
급락장에 내 투자금이 20% 손실이라면? 당장 매도하고 싶다 그냥 버틴다
수익보다 안정이 중요하다고 느끼는가? 아니오
투자 시간은 얼마나 들일 수 있는가? 주 1시간 이하 매일 공부 가능
나의 투자 목적은? 노후 자금 확보 자산 증식, 경제적 자유

→ A가 많다면: 안정형 / 수동적 투자
→ B가 많다면: 공격형 / 적극적 투자

💬 성향을 모르면, 전략은 방황하게 됩니다.


2단계: 지금까지의 투자 경험 정리

나만의 투자 히스토리를 한번 써보세요.

  • 첫 투자 상품은 무엇이었나요?

  • 어떤 상황에서 수익을 냈나요?

  • 어떤 투자에서 손실을 봤나요?

  • 무엇이 나를 흔들리게 했나요?

📌 실전 경험은 ‘나만의 원칙’을 만드는 좋은 재료입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고점 매수로 손실을 봤다면
→ ‘절대 유행 테마주에는 뛰어들지 않는다’는 철학이 생길 수 있습니다.


3단계: 나만의 투자 원칙 문장으로 정리하기

지금까지 파악한 성향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투자 철학을 문장으로 정리해보세요.

✍ 예시)

  • 나는 매월 일정 금액을 글로벌 ETF에 정액 투자하며,
    10년 이상을 목표로 한다.
    뉴스나 단기 수익률에 흔들리지 않는다.

  • 나는 고배당 우량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연 2회 리밸런싱을 통해 장기적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

  • 나는 기술주 중심의 성장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되,
    총 투자금의 30% 이내로만 집중 투자한다.

👉 이런 간단하지만 분명한 기준
앞으로의 모든 투자 선택의 기준이 됩니다.


보너스: 나만의 투자 철학 카드 만들기

  • 투자 목표: _____________

  • 투자 기간: _____________

  • 투자 상품: _____________

  • 투자 금액 및 비중: _____________

  • 리스크 대응 전략: _____________

  • 반드시 지킬 원칙 한 가지: _____________

✅ 이 카드 한 장만 있어도
앞으로 수많은 선택의 순간에서
내가 흔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투자의 핵심은 전략보다 **‘기준’**입니다.
남의 전략을 따라가는 투자에서
자기 기준을 가진 투자자로 성장하는 것.
그게 진짜 재테크의 시작이에요.

오늘 이 글을 읽고,
노트에 나만의 투자 철학을 꼭 적어보세요.

투자 철학은 수익률보다 오래가는 자산입니다.


다음 글 예고

[경제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포트폴리오 구성법]
시장 위기는 언제든 올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불황기에도 자산을 지키는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을 소개합니다.